플랫폼 비즈니스의 성공 전략
삼정KPMG 경제연구원은 삼정 Insight 제67호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공 전략』을 발간합니다.
아마존, 구글과 같은 거대 플랫폼 기업이 유통, 광고, 콘텐츠 등 여러 분야의 시장을 장악하면서, 플랫폼 비즈니스가 더욱더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플랫폼에 대한 수많은 연구와 분석이 등장하고 있지만,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플랫폼을 바라봐야 할 필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플랫폼의 파괴적 혁신에 대해 기존 기업들(Incumbents)이 위협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들 기존 기업은 플랫폼에서의 사업 기회를 탐색하며 자체 플랫폼을 구축하거나, 타 플랫폼과 협력하는 등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가운데, 본 보고서는 플랫폼의 개념과 부상 배경을 종합적 관점에서 분석했으며, 해외 기업의 사례와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플랫폼의 5대 특징으로는 ①비즈니스 경계 파괴 ②생태계 기반 ③네트워크 효과 ④승자독식 수익 구조 ⑤양면(다면) 시장 구조를 들 수 있습니다. 아울러 플랫폼 확산의 영향을 특히 크게 받을 산업 분야로 모빌리티, 유통, 소비재, 금융, 헬스케어를 선정하여 각 산업별 플랫폼 비즈니스에서 벌어지는 경쟁 구도와 사업 환경, 플랫폼 사업 시 XM 거래 플랫폼 의 검토 및 테스트 고려 사항을 살펴봤습니다.
기업이 플랫폼 비즈니스에서 성공하기 위한 7단계 전략으로는 ①Questioning(플랫폼 사업에 대한 고민) ②Compete or Join(경쟁 및 협력 전략) ③Platform Type(구축 플랫폼의 형태와 성격 결정) ④Connect(고객 접점 만들기) ⑤Value(플랫폼 핵심 가치 창출) ⑥Monetization(플랫폼 수익화) ⑦Retention(고객 묶어두기)을 제시했습니다.
본 보고서는 플랫폼 비즈니스에서 기회를 찾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도움이 될 정보와 시사점을 분석함으로써, 플랫폼 사업의 성공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암호화폐 P2P 및 마진거래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의 현재 상황 :
- 벤치마킹 사이트 선정.
- 프로젝트 간단 기획 및 디자인 시안 제공 가능.
필요 요소 :
- 기능 정의, 개발 설계, 화면 설계
- UI 디자인 및 퍼블리싱
- 웹(반응형) 구축
- 관리자페이지 개발
- 서버 구축(AWS)
- iOS/안드로이드 어플( 네이티브 )
- 코인마켓캡 거래소 등록
- 마진거래 플랫폼
- 스테이킹 서비스
개발 환경/언어 :
- 백엔드 Spring Boot, Ruby on Rails 선호
- 프론트 React, Redux, Webpack, ES6, Mocha, Eslint,JSP 선호
- 모바일앱 프런트 : Android Java 혹은 Kotlin/iOS Swift (필수)
마진 가격 데이터소스
- 바이낸스,오케이엑스,후오비 설정
마진거래 기능은 모든 사이트가 대부분 비슷하고 전체적인 UI는 업비트 참고해서 제작 원합니다.
- 마진 거래 : 코인으로 입금하여 마진 거래 진행 ( 원화 입금 아님 )
- '상세한 개발 범위는 바이낸스 P2P 혹은 XM 거래 플랫폼 의 검토 및 테스트 코인콜라의 OTC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s://p2p.binance.com/ko
https://www.coincola.com/buy-bitcoin
- 거래 코인 종류 지갑 제어(비트코인, 이더리움, 테더(ERC20), 리플, 이오스 등
- 사용자간 채팅 기능 및 자체 에스크로 시스템
- 사용자별 거래 코인 5개 개인 지갑 부여
- P2P 거래 페이지
- P2P 등록 페이지
- P2P 주문 관리 페이지
- 코인 입출금 페이지
- 레퍼럴 제도(상위 추천인에게 거래 수수료 쉐어)
- 유저 페이지(개인정보관리/채팅관리/거래관리/지갑관리 등)
- 관리자 페이지(회원관리/채팅관리/거래관리/지갑관리/보안관리 등)
- 파트너 페이지(대시보드/고객/커미션 등)
* 파트너 : 모객하는 타입의 사용자이며 해당 파트너의 레퍼럴을 통해 유입된 유저에 따라 수익금 지급
- 웹 프론트 퍼블리싱 및 연동
- 백엔드 개발(Spring Boot / Rest API)
- 문자 SMS 및 이메일 연동
- 한국어, 영어, 중국어 다국어 지원
- 개발 명세서
참고 사항 :
- 관련 분야 개발 경험이 있는 팀만 지원 요청합니다.
- 해당 업무를 일괄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팀과 계약을 희망
- 프로젝트 비용은 크지 않은선에서 조율이 가능
모집 요건
지원 전 질문
지원서 작성시 클라이언트의 질문에 답변해 주세요.
normal85
p2p 플랫폼이면 Dex platform을 원하시는게 맞을까요?
적어주신 내용들을 보면 바이넨스 거래소에 있는 p2p기능을 거의다 카피해야 할거같은데 이 내용이 맞는지요?
마진거래 플랫폼이라는건 arbitrage 플랫폼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normal85 P2P 기능은 신원인증이 된 개인과 개인회원 코인거래를 장외거래를 도와주는 형태 입니다. 마진거래는 레버리지 시스템을 이용해서 매매하는 방식 입니다.
모집 중인 다른 프로젝트
탈중앙화 가상자산 지갑 앱 개발
프로젝트 개요 : - 탈중앙화 가상자산 지갑 앱 개발 현재 준비 상황 : - 니모닉 코드 백업/복구 기능을 가진 가상자산 지갑 개발 - 니모닉 코드 백업/복구 서버 개발 진행 중 - 지갑 앱 개발 요청 : 주로 프론트 UI/UX 및 일부 기능 포함 필요 요소 : - UI/UX 설계/기획 - 웹 및 모바일 앱 디자인 - 웹 및 모바일 앱 개발 개발환경/언어/방식 : - Android, iOS, XM 거래 플랫폼 의 검토 및 테스트 Web 요구 사항 : - 첨부 문서 외 추가 미팅을 통한 상세 설명 예정 - 첨부한 파일 참고 부탁드립니다. 산출물 : - 기획 문서 - 디자인 원본 파일 - 개발 원본 소스코드 참고 서비스/사이트 : - 메타마스크(MetaMask)
병원 정보 제공 및 리뷰 커뮤니티 하이브리드 앱 디자인 및 개발
삼성전자 갤럭시 스토어 기획/어드민 관리 연간운영(재택 협의 가능)
이 프로젝트의 클라이언트는 사업자 또는 신원 정보 인증을 완료하였습니다.
스마트 스케줄링 서비스 MVP 백엔드 수정 및 구축
<프로젝트의 현재 상황>프로젝트 개요 : - 미팅 XM 거래 플랫폼 의 검토 및 테스트 약속을 조율하기 위한 스마트 스케줄러 서비스 (비슷한 서비스 예시: calendly, 되는시간, doodle) - 호스트가 미팅 시간 선택지를 제안하면 초대 링크가 생성되고 이를 공유하면 게스트들이 링크내에서 투표를 한다. 이후 호스트가 추후에 투표 결과를 확인 후 미팅 시간을 확정하는 방식 현재 준비 상황 : - 기획과 디자인이 완료되어 스토리보드 작업이 끝난 상태 - 프론트엔드 개발이 거의 끝나 QA 진행중인 상태 - 백엔드 개발이 Go lang, Mongo DB로 어느정도까지 개발이 되어있으나 구글 캘린더 연동, 카카오 알림톡 연동이 덜 된 상태 진행 계획 : - 현재 있는 백엔드 코드를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여 수정하고, 이 위에 구글 캘린더 연동, 카카오 알림톡 연동을 구현해서 빠르게 개발이 가능하다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 하지만 개발 환경/언어가 맞지 않고, 현재의 백엔드 코드를 수정하기보다 새로운 코드를 쓰는것이 빠르다고 판단되면 이렇게 진행하면 됩니다. - 기간이 다소 촉박하여 기타 사항 협의가 필요합니다. 필요 요소 : - 스케줄링 서비스 내부 API 개발/ 카카오 알림톡 API 연동/ 구글캘린더 API 연동 - 기존 코드 검수 혹은 새로 작성 - 기존 코드 검수시 오류 발생 가능성에 대해 점검 필요 개발환경/언어/방식 : - 현재 Go lang/ Mongo DB로 개발이 되어있음 - 하지만 원하는 언어나 프레임워크가 있다면 새로 개발해도 무방 요구 사항 : - 카카오 로그인을 통한 유저 관리(프로필사진,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필수 수집 & 성별 등 선택수집) - 유저 프로필사진/ 이메일/ 이름 수정 API - 호스트가 초대하기 위해 만든 미팅에 대한 API(확정 전) - 호스트가 투표 결과를 확인 후 확정한 미팅에 대한 API(확정 후) - 구글캘린더 연동 - 사용자가 구글 캘린더 연동시 관련된 OAuth관리 필요 - 처음 계정 연동시 현재 있는 모든 미팅 일정에 대해 구글 캘린더에 등록 - 이후 새로 미팅이 확정될때마다 구글 캘린더에 일정 등록(호스트, 게스트일때 모두) - 알림톡 연동 - 네이버 클라우드 서비스의 카카오톡 알림톡 API 사용허가를 받은 상태 -> 이를 필요한 곳에 붙이면 됨 - 미팅 확정시, 미팅 삭제시, 리마인더 등 필요한 때에 동작하도록 하기 *현재 구글캘린더 연동, 알림톡 연동 외에 개발이 모두 되어있으나 현재있는 코드 외에 새로 개발할때 더 속도가 난다고 하면 새로 개발해도 무방 산출물 : - 소스 코드 원본 파일 -> Git으로 올리기 - 현재 개발 코드 등은 모두 Git 환경에 연동되어 있어, 해당 코드 동기화하며 작업 필요합니다. 기타 참고 사항/유의 사항 : - 미팅 시 기존 시스템 및 준비된 내용 전달 후 금액 및 기간 협의도 가능합니다.프로젝트의>
온라인 시험 보안프로그램 구축
이 프로젝트의 클라이언트는 사업자 또는 신원 정보 인증을 완료하였습니다.
프로젝트 개요 : - 자사 서비스 내 보조로 사용될 프로그램의 개발을 요청드립니다. 현재 준비 상황 : - 기능 명세 완료되었습니다. 필요 요소 : - 온라인 시험 보안 프로그램 기획, 디자인 - 온라인 시험 보안 프로그램 개발 개발환경/언어/방식 : - Windows, MAC OS 최신 버전 대응 필요 주요 기능 List/주요 화면 List/메뉴 구성/요구 사항 등 : 1) 웹 베이스의 온라인 시험과 연계되며 시험 문제 유출 방지를 위한 사용자 통제용 프로그램입니다. - 온라인 시험 응시자 PC(Window, Mac)에 설치되어 XM 거래 플랫폼 의 검토 및 테스트 시험 진행 중에 응시자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주요 기능 - 기기 제어 : 외부기기 연결 차단, 가상 데스크톱 차단(기술 검토 필요), 단축키 차단, 작업 전환, 마우스 우클릭 제어 - 프로그램 제어 :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차단, 화면 캡처/녹화 방지, 브라우저 차단 - 감독관 보조기능 : 감독 채팅, 응시자 키보드/마우스 원격 제어 - 네트워크 속도 체크 및 기능 On/Off, 알림 등 산출물 : 1) 기획 : 기능 및 화면 기획 문서 2) 디자인 : 디자인 원본 파일 3) 개발 : 개발 원본 소스 코드
XM 거래 플랫폼 의 검토 및 테스트
[STO] 국내 부동산 DABS 거래 플랫폼 현황 및 시사점
-
본문 폰트 크기 조정 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오랜만에 자본시장연구원 에서 "국내 부동산 DABS 거래 플랫폼 현황 및 시사점" (한아름 연구원)이라는 제목의 보고서가 나와서 관련 글을 포스팅 해봅니다.
주요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였고, 개인적 의견을 제시해 봅니다.
원 보고서는 아래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십시요.
1. 국내에서도 STO에 대한 관심이 증가
- 카사코리아가 2020년 12월 18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부동산 DABS(디지털 유동화 증권) 거래 서비스를 제공
부동산펀드, 리츠에 이은 새로운 부동산 간접투자 수단으로 주목
- 부동산 STO는 부동산이 갖고 있는 낮은 유동성, 기관투자자 중심, 대형건물 위주의 투자 등
기존 부동산간접투자 상품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상품으로 주목
* 저는 카사코리아 회원인데 1호 상품은 투자를 신청하지는 않았고 2호 상품이 곧 청약 예정이라
2. 금융위원회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부동산 DABS 플랫폼 서비스를 지정하여
- 부동산 신탁계약에 의한 수익증권 발행을 허용하고, 투자 중개업 및 거래소 인허가를 받지 않더라도
증권거래 중개가 가능하도록 특례를 부여
- 최대 4년간 금융법상 인허가, 영업행위 등에 대한 규제가 유예 및 면제됨
* 현재 카사코리아, 루센트블록 등 선도적 스타트업체들이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서비스를 출시하거나
출시 예정중입니다. 이 업체들이 성공적으로 잘 자리잡아 공식적인 법적 제도하에 들어오는 것이 관건이라고
3. 해외 주요 국가에서는 STO에 대한 제도 및 규율이 마련 실행중임
- 미국 , 스위스 등 금융선진국에서는 정비된 규제 및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젝트에 STO가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STO 투자 유치 가능 금액을 5,000만달러에서 7,500만달러로 상향조정하는 개정안 제안서를 발표하는 등 규제를 완화하는 추세
- 일본 금융청은 2020년 4월 자금결제법과 금융상품거래법 개정안 발표를 통해 STO 및 거래 플랫폼 관련 규제를 마련하였으며 SBI에서는 아이벳(Ibet) 플랫폼을 통해 STO를 실시할 예정
4. 시사점 : 제도권 내 수용될 수 있도록 노력과 개선이 필요함
- 일시적 규제 면제가 아닌 제도권 내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금융소비자 보호, 자산 포트폴리오의 다양화 등 추가 방안이 필요하며 부동산 DABS 플랫폼 성과는 STO의 실효성에 대한 인식 및 규제 방향에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
- 부동산을 기초로 하는 만큼 양질의 부동산 자산을 발굴하고 객관적 감정평가가 가능하도록 전문 역량을 강화시키고 임대건물, SOC, 호텔 등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투자자의 선택권을 확대
-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서는 투자 건물에 대한 공시 강화, 합리적 방식에 기초한 가치평가 등 정보공개 및 공정한 평가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고 금융당국의 감독 및 위험관리 병행이 필요
6부 - 테스트 및 App Store 승인
많은 앱(일부 스토어의 Android 앱)은 게시하기 전에 승인 프로세스를 통과해야 하므로 앱이 시장에 도달하도록 테스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고객과 함께 성공하는 것은 물론). 테스트는 개발자 수준 단위 테스트부터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베타 테스트 관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습니다.
모든 플랫폼에서 테스트
Windows 휴대폰, 태블릿 및 데스크톱 디바이스에서 .NET이 지원하는 항목과 동적 코드가 즉시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iOS 대한 제한 사항 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코드를 개발할 때 여러 플랫폼에서 테스트를 계획하거나 프로젝트 종료 시 애플리케이션의 모델 부분을 리팩터링하고 업데이트하는 시간을 예약합니다.
시뮬레이터/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운영 체제의 여러 버전과 다양한 디바이스 기능/구성을 테스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능한 한 많은 물리적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테스트해야 합니다.
클라우드의 디바이스
휴대폰과 태블릿 에코시스템은 항상 증가하고 있어 점점 더 많은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지 테스트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서비스에서 많은 하드웨어에 직접 투자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App Center 테스트는 수백 개의 다른 디바이스에서 iOS 테스트하고 애플리케이션을 Android 쉬운 방법을 제공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Xamarin.Android 준비를 참조하세요. 앱 및 Xamarin.iOS 앱 준비
Test Management
조직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거나 외부 사용자로 베타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경우 다음 두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 배포 – 프로비저닝 프로세스 관리(특히 iOS 디바이스의 경우) 테스터에게 업데이트된 버전의 소프트웨어 가져오기
- 피드백 – 애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한 정보 및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한 자세한 정보 수집
애플리케이션에 기본 제공되는 인프라를 제공하여 사용량 및 오류를 수집하고 보고하고, 테스터와 해당 디바이스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로비저닝 프로세스를 간소화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많은 서비스가 있습니다.
Visual Studio App Center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여 테스트 버전 배포, 크래시 보고 및 정교한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를 제공합니다.
테스트 자동화
Xamarin UITest 를 사용하여 로컬로 실행하거나 App Center 테스트에 업로드할 수 있는 자동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테스트 스크립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단위 테스트
Touch.Unit
Xamarin. iOS JUnit/NUnit 스타일 쓰기 테스트를 따르는 Touch.Unit이라는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포함합니다.
Andr.Unit
Andr.Unit이라는 Android Touch.Unit에 해당하는 오픈 소스가 있습니다. github에서 다운로드하고 @spouliot 블로그의 도구에 대해 읽을 수 있습니다.
App Store 승인
Apple과 Microsoft는 플랫폼에서 각각 App Store 및 Marketplace와 같은 유일한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둘 다 디바이스를 잠그고 엄격한 앱 검토 프로세스를 구현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품질을 제어합니다. Android 열린 성격은 널리 사용할 수 있고 검토 프로세스가 없는 Google의 Play에서부터 더 제한된 배포를 하고 승인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삼성 앱과 같은 Android 및 하드웨어 관련 노력을 위한 Amazon의 앱 스토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토어 옵션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앱이 검토되기를 기다리는 것은 매우 스트레스가 많을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압력은 종종 애플리케이션이 "대상 지정" 시작 날짜 이전에 오류에 대한 여백이 거의 없는 승인을 위해 제출됨을 의미합니다. 프로세스 자체는 최대 2주가 걸릴 수 있으며 반드시 투명하지는 않습니다. 최종적으로 거부되거나 승인될 때까지 애플리케이션의 진행 상황에 대한 피드백이 제한됩니다. 거부는 특히 두 번 이상 발생하는 경우, 원래 시작 날짜와 앱이 마지막으로 승인된 시점 사이에 몇 주가 경과하는 경우 영업 기회의 마케팅 기간을 누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조언의 첫 번째 조각 : 사전에 잘 응용 프로그램의 출시를 계획하고 가능한 거부 및 재 제출에 대한 허용을합니다. 각 스토어에서는 앱을 제출하기 전에 계정을 만들어야 합니다. 가능한 한 빨리 이 작업을 수행합니다. 앱이 무료인 경우 Google Play 등록하는 데 몇 분밖에 걸리지 않지만, 앱이 판매되고 은행 및 세금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프로세스가 훨씬 더 복잡해집니다. 애플과 마이크로 소프트의 프로세스는 모두 구글보다 훨씬 더 관여, 그것은 당신의 계정이 승인 얻을 일주일 이상이 걸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출시 계획에이 시간을 요인.
계정이 승인되면 앱을 제출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앱을 제출하는 실제 프로세스는 다음 설명서에서 다룹니다.
이 섹션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딸 틈 없이 앱이 승인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설명합니다.
그것은 명백한 소리, 하지만 응용 프로그램은 종종 품질의 특정 수준을 충족 하지 않기 때문에 거부 얻을 것 이다: 결국, 이것은 큐레이팅 된 상점 처음에 승인 프로세스를 가지고 이유!
크래시가 거부되는 일반적인 이유입니다. 앱 크래시가 너무 쉬운 경우 거부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개발자는 크래시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로 앱을 제출하지 않지만 종종 제출합니다. 앱을 제출하기 전에 철저히 테스트하여 모든 것이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문제 및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 공간과 같은 리소스 제약 조건과 같은 일반적인 모바일 오류 시나리오를 처리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시뮬레이터와 물리적 디바이스를 모두 사용하여 테스트합니다. 시뮬레이터에서 코드가 얼마나 잘 실행되는지에 관계없이 디바이스만 앱의 실제 성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가능한 경우 베타 테스터 팀을 참여시킬 수 있습니다. 타사 서비스는 베타 배포 및 피드백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모든 모바일 운영 체제는 충분히 빠르게 시작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합니다. 허용되는 시간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앱은 몇 초 안에 응답하고 백그라운드 작업을 사용하여 더 오래 걸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로드하는 데 너무 오래 걸리거나 정기적으로 충분히 응답하지 않는 앱은 거부됩니다. 백그라운드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앱이 충돌한 것으로 표시되고 다시 한 번 거부되는 경우 항상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에지 사례 확인
개발자를 위한 일반적인 트랩은 에지 케이스, 특히 제대로 테스트하기 위해 시뮬레이터 또는 디바이스를 다시 구성해야 하는 사례를 해결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개발자가 요청을 한 번 수락한 후에는 다시는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모든 고객이 앱이 자신의 위치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잊기 쉽습니다. 사용 권한 및 네트워크 사용은 특히 승인 프로세스 중에 집중됩니다. 즉, 이러한 영역에서 작은 감독으로 인해 거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목록은 누락되었을 수 있는 에지 사례를 확인하기 위한 좋은 시작점입니다.
- 고객은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특히 iOS 지리적 위치 정보와 같은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권한을 부여하는 XM 거래 플랫폼 의 검토 및 테스트 경우에만 제공됩니다. 애플리케이션 테스터는 애플리케이션을 초기 상태로 다시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적절하게 동작하도록 권한 요청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객이 마음을 바꿀 때 올바른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 권한을 설정/해제합니다.
- 고객은 어디에나 있습니다 . 앱이 개발된 도시 또는 국가에서만 사용된다고 가정하지 마세요! GPS 좌표, 날짜 및 시간 값 및 통화로 작동하는 코드는 모두 고객의 위치 및 로캘 설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모든 플랫폼은 다른 위치와 로캘을 지정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제공합니다. 이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다른 반구의 위치와 날짜 및 통화 형식을 다르게 지정하는 문화권을 테스트합니다. 위도 및 경도 값은 양수 또는 음수일 수 있고, 소수 구분 기호는 마침표 또는 쉼표일 수 있으며, 날짜는 무수히 많은 방식으로 서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느린 네트워크 연결 – 앱 개발자는 종종 빠르고 항상 작동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이상적인 세계'에서 작업하는데, 이는 실제 환경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느린 네트워크 연결(예: 3G 연결 불량)과 네트워크 액세스 없이 테스트하는 것은 버그가 있는 앱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는 데 중요합니다. 승인 프로세스에는 항상 비행기 모드에서 디바이스를 사용한 테스트가 포함되므로 직접 테스트했는지 확인합니다.
- 하드웨어는 다양합니다 . 지원하려는 가장 오래되고 느린 하드웨어를 테스트해야 합니다. 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두 가지 측면은 이전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없는 성능과 카메라, 마이크, GPS, 자이로스코프 또는 기타 선택적 구성 요소와 같은 하드웨어 기능에 대한 지원입니다. 구성 요소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정상적으로 성능이 저하되고 충돌하지 않아야 합니다.
지침은 단순한 '가이드' 이상입니다.XM 거래 플랫폼 의 검토 및 테스트
Apple은 플랫폼의 주요 강점 중 하나가 일관성(및 유용성 증가)이므로 인간 인터페이스 지침을 엄격하게 준수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Microsoft는 Fluent Design 시스템 구현하는 Windows 애플리케이션과 비슷한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두 플랫폼에 대한 승인 프로세스에는 관련 디자인 철학을 준수하는지 평가되는 앱이 포함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혁신이 지원되거나 권장되지 않는다는 말은 아니지만, "그냥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있거나 앱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iOS 기본 제공 아이콘을 오용하거나 일관되지 않은 방식으로 다른 잘 설정된 은유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새 콘텐츠를 만드는 것 이외의 다른 항목에 대해 '작성'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Windows 개발자도 마찬가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실수는 Microsoft의 지침에 따라 하드웨어 뒤로 단추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디자이너가 각 플랫폼에 대한 디자인 지침을 읽고 따르도록 권장합니다.
Platform-Specific 기능 구현
특히 iOS 플랫폼별 서비스를 구현하는 경우 좀 더 엄격합니다. Apple에서 자동 거부를 방지하려면 다음 iOS 기능을 따라야 하는 몇 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 앱 내 구매 – 애플리케이션은 게임 내 통화, 애플리케이션 기능, 잡지 구독 등을 비롯한 디지털 제품에 대한 외부 결제 메커니즘을 구현해서는 안 됩니다. iOS 앱은 이러한 종류의 기능에 Apple의 iTunes 기반 서비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허점이 있습니다 - Kindle 리더 및 일부 구독 기반 앱과 같은 앱은 앱을 통해 액세스 할 수있는 "계정"에 연결된 다른 곳에서 콘텐츠를 구입할 수 있지만,이 경우 앱은 앱에서 바로 구매 프로세스에 대한 링크 또는 참조를 포함해서는 안됩니다 (또는 다시 한 번 거부됩니다).
- iCloud 백업 – iCloud가 등장하면서 Apple의 검토자는 앱이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훨씬 더 엄격합니다(고객의 원격 백업 환경이 쾌적하도록 보장). 백업 가능 스토리지 공간을 낭비하는 앱은 거부될 수 있으므로 캐시 폴더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Apple의 다른 스토리지 관련 지침을 따릅니다.
- Newsstand – 신문 및 잡지 앱은 Apple의 Newsstand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앱은 하나 이상의 자동 갱신 구독을 구현하고 백그라운드 다운로드를 지원하여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 지도 – 모바일 맵에 오버레이 및 기타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점점 더 일반적이지만, 맵 '크레딧' 정보(예: iOS5의 Google 로고)를 가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메타데이터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거부될 수 있는 명백한 기술 문제 외에도, 특히 App Store 또는 Marketplace 내에 표시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제출하는 메타데이터(설명, 키워드 및 마케팅 이미지)를 중심으로 거부될 수 있는 제출의 몇 가지 미묘한 측면이 있습니다.
- 이미지 –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플랫폼의 지침을 따르고 그림을 저장합니다. 상표 이미지를 사용하지 마세요. 아이콘에 iPhone 그림이 표시되었기 때문에 앱이 거부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 상표 – 본인의 상표가 아닌 다른 상표는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앱 설명 또는 Apple의 App Store 키워드에서 상표를 언급하는 것에 대해 앱이 거부되었습니다.
- 설명 – 'beta'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마세요. 그렇지 않으면 앱이 황금 시간대에 사용할 준비가 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다른 모바일 플랫폼은 언급하지 마세요(앱이 플랫폼 간인 경우에도). 가장 중요한 것은 앱이 사용자가 말하는 것과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설명에 여러 기능을 나열하는 경우 이러한 각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더 잘 알 수 있거나 "애플리케이션 설명에 언급된 기능이 구현되지 않음" 거부가 표시됩니다.
개발 및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애플리케이션의 메타데이터에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은 메타데이터의 사소한 침해에 대해 거부되므로 이를 올바르게 수행하는 데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좋습니다.
앱 스토어: 모든 사용자를 위한 것은 아닙니다.
각 플랫폼에 있는 매장의 주요 초점은 소비자 배포입니다. 가능한 한 많은 고객에게 도달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그러나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직원, 공급업체 또는 고객에게 제한된 배포가 필요한 사내 및 엑스트라넷과 유사한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개발자가 닫힌 사용자 그룹에 배포를 제어하므로 이러한 앱은 "판매용"이 아니며 승인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배포에 대한 지원은 플랫폼에 따라 다릅니다.
Android 가장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은 URL 또는 전자 메일 첨부 파일에서 직접 설치할 수 있습니다(디바이스 구성에서 허용하는 한). 즉, 사내 회사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배포하거나 특정 고객 또는 공급업체에 애플리케이션을 게시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Apple은 iOS 개발자 Enterprise 프로그램에 등록된 개발자에게 사내 배포 옵션을 제공하여 App Store 승인 프로세스를 우회하고 회사가 사내 앱을 직원에게 배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아쉽게도 이 라이선스는 다른 폐쇄된 고객 그룹 또는 공급업체에 엑스트라넷과 유사한 앱 배포의 필요성을 해결하지 않습니다. Enterprise(및 임시) 배포
App Store 요약
검토 프로세스는 어려울 수 있지만 나머지 개발 수명 주기와 마찬가지로 세부 사항에 대한 계획 및 주의로 성공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단계는 준수해야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침을 읽고 이해하고, 플랫폼별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규칙을 따르고, 철저히 테스트(그런 다음 좀 더 테스트)하고, 마지막으로 제출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 메타데이터가 올바른지 확인하는 몇 가지 간단한 단계로 진행됩니다.
Google Play 게시하는 개발자에게 마지막으로 한 가지 조언은 승인 프로세스가 부족하여 작업을 더 쉽게 만드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고객은 검토 팀보다 훨씬 더 까다로울 것입니다. 앱이 거부될 수 있는 것처럼 다음 지침을 따르세요. 그렇지 않으면 고객이 거부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스마트콘텐츠 테스트 플랫폼 지원사업’의 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김창용, 이하 NIPA)은 ‘스마트콘텐츠 테스트 플랫폼 지원사업’을 종료했다고 12일 밝혔다.
본 사업은 국내 중소 스마트콘텐츠 기업이 개발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고 사용자 요구에 맞춰 적기에 출시할 수 있도록 콘텐츠 개발 테스트 및 인프라를 제공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테스트 지원 사업으로 콘텐츠 분야별로 희망하는 테스트 및 개발 컨설팅을 지원하는 개발 테스트 지원과 온라인서비스 기술을 지원하는 개발 인프라 지원, 국내외 다양한 스마트기기 및 테스트 장비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콘텐츠 테스트랩 운영으로 구성되어 있다.
3차에 걸친 선정평가를 통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개발 테스트 분야 (40개), 개발 인프라 지원 분야 (30개) 총 70개 기업을 지원하였으며, 선정된 기업들의 낭보도 잇따르고 있다.
가시적 성과를 낸 기업으로 글로벌 뷰티 솔루션 기업 릴리커버는 올해 10월에 홍콩에서 개최된 컨슈머 전자전에서‘톱10 파이널리스트’에 선정되며 해외 바이어와 200만 달러 규모 공급계약을 맺었고, 에듀테크 스타트업 밍글콘은 올해 와디즈에서 114%로 펀딩을 달성, 게임개발사 퍼플오션은 예능‘도시어부’의 IP를 활용하여 개발한 낚시게임‘도시어부M’은 최근 구글피처드 선정 및 구글 플레이스토어 인기순위 1위에 오르기도 하였다.XM 거래 플랫폼 의 검토 및 테스트
한편 디지털콘텐츠기업 성장지원센터에 있는 스마트콘텐츠 테스트랩은 이용 현황은 1월부터 11월까지 이용 건수 1,500건, 기기 대여 수 5,000여 개를 돌파하는 등 매년 이용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세계 최초 5G를 상용화하였으나 현재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은 ‘통신 네트워크 품질개선’과 ‘콘텐츠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5G 콘텐츠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본사업의 운영 방향도 계속 진화하고 있다.
우선 5G 콘텐츠 테스트 지원 분야를 신설 및 지원 확대한 결과 선정된 70개 기업 중 약 20%에 해당하는 13개 기업이 VR·AR 개발사이며, 이는 작년의 6개 기업 지원과 비교하여 약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스마트콘텐츠 테스트랩 운영 방식도 대폭 확대 개편될 예정이다. 올해 8월 NIPA와 안양시가 협력하여 센터 내 5G망 구축을 완료하였고, 이는 최신 5G 스마트폰을 테스트할 수 있게 하는 등 콘텐츠 테스트 환경 확대 구축 뿐만 아니라 개발사 및 일반인들도 5G 콘텐츠 테스트 및 체험, 시연을 한 공간에서 할 수 있는‘5G+ LAB’으로 리모델링하여 내년부터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NIPA ICT문화융합팀 범원택 팀장은 “5G라는 초연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ICT 기술의 융합확산과 5G 스마트기기 보급증가로 인해 경제·사회적으로 혁신적인 변화가 예상된다”면서 “디지털콘텐츠 육성과 글로벌 강소기업으로서의 성장을 위해 유망 개발사들이 좋을 성과를 이뤄낼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라고 말했다.
0 개 댓글